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다가오면서 정부와 민간기업간 수위 조절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비대면 수요로 때 아닌 호조세를 보인 게임시장의 경우 오히려 시황이 정체되거나 나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이에따라 업계 일각에선 이같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맞춘 연착륙안을 마련, 시장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게임업계는 무엇보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완전 폐지될 경우 예전과 다른 수요 패턴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이용자수 및 이용시간, 결제금액 등에 있어 상당폭 내리막 또는 감소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특히 실내 활동에 집중했던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보다는 야외 활동 등에 시간을 더 할애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증시 등 금융가에서도 게임시장에 대해 계절적으로 이같은 현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보수적 전망을 내놓고 있는 것도 다 이 때문이다.  

시기적으로 게임 시장 흐름이 긍정적이지 못한 건 사실이다.  또 새 작품 출시 편성도 예년에 비해 좋다 할 수 없다.  전반적으로 수요 감소 현상이 빚어질 게 확실해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못해 볼 수준까지는 아니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출시 편수를 늘리고 기대작을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등 수요 부양책에 나선다면 그렇게 비관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더욱이 주력시장이 과거 온라인게임처럼 공간적 제한이 있는 플랫폼이 아닌 모바일 게임이란 점도 그렇다.

따라서 시장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응책을 사전에 준비해 나간다면 우려할만 한 현상은 빚어지지 않을 것이란 게 업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

원론적 얘기로 돌아가면, 시장 흥행은 작품에서 말해준다는 것이다. 게임이 좋으면 수요는 따라오기 마련이다. 분명, 게임시장이 비대면 수요로 때 아닌 호조세를 보이는 등 재미를 본 건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작품성까지 그랬다고 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유저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작품 개발에 더 주력했으면 한다. 그 것이 바로 게임계의 가장 긴요한 연착륙을 위한 대응책이 아닌가 싶은 것이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