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윤석열 양 선거진영 게임정책 '허접' …표심만 노렸다간 '된서리'

정치의 계절이 성큼 다가왔다. 맹장군도 울고간다는 대한(大寒)을 앞둔  1월 한 겨울임에도 정치권은 지금 후끈 달아올라 있다.

대선이 불과 50여일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각 대선 캠프 진영의 움직임은 더 숨가쁘게 돌아가는 모습이다. 이때 쯤이면  표를 준다함 마다할 게 없다는 것이다.

이른바 공약(公約)이란 것이  쏟아지고 있다. 말 그대로 공약(空約)이 되더라도 먼저 기세를 올려 보겠다는 속셈이다. 그렇다면 좀 더 그럴싸하게 포장이라도 해 놓고 내놓을 망정이지 익히지도 않은 채로 그대로 상에 올려 놓고 있는 것이다.

대선 후보들의 정책 및 공약은 정권의 색깔을 보여준다는 매우 신중한 접근론이 요구된다. 경제 정책의 경우 대외적 환경 등 운신폭 제약 때문에 각 진영의 성향을 쉽게 읽어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 문화 정책은 상당히 까다롭고 복잡하다. 특히 문화와 문화산업 정책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그 무게중심을 어디에다 두느냐에 따라 그 향배의 그림자가 짙게 나타난다.

게임산업 육성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양 선거진영의 구애 바람이 심상찮다. 과거, 언제 이런 때가 있었는가 싶을 정도로 온갖 정성을 들이고 있는 것이다. 최근 들어선 하루가 멀다 할 만큼 새로운 게임정책과 공약이 쏟아지고 있다. 이들의 이같은 열과 성이면 대한민국 게임업계가 머지않아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 3대 게임강국으로 진입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들 정도다.

올해 치러지는 20대 대선의 향배는 20~30대 투표율에 의해 좌우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이들의 성향에 맞는 정책과 진영의 톤이 어느 때보다 긴요하게 됐다. 양 진영의 처지가 그 만큼 절박하게 됐다는 것인데,  아직까지 어느 쪽이다고 할 만큼 뚜렷한 쏠림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냉정하게 언급한다면 게임산업 정책에 관한한 이 재명 후보나 윤 석렬 후보 모두 고만 고만하다는 것이다. 또 굳이 더 지적한다면 어쩌면 저렇게 산업을 모르나 할 정도로 참모진이 넘겨준 메모지 읽기에만 급급할까 하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른바 선두 다툼을 벌인다는 양 선거진영 모두 식상한 게임산업 정책만 남발하고 있는 것이다.

게임은 단순히 문화장르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면 곤란하다. 대중 문화의 한 지류이기도 하지만 독특한 특성이 있다. 공급자와 수요자간 쌍방향의 특질이 있고, 게임 완성도 역시 복잡미묘하다.

예컨대 영화에서는 관객들이 특정 장면에 대해 부적절하다며 클레임을 제기한다고 해서 다시 찍지 못하지만 게임에선 가능하다. 영화는 완성작을 내놓지만, 게임은 여전히 살아 숨쉬는, 현재 진행중인 작품이기 때문이다. 또 음악에선 어느 소절의 한 음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없지만 게임에선 어려운 일이 아니다. 팬들이 원할 땐 언제든지 수정이 가능하다.

밑그림과 재료를 가지고 함께 작업해서 완성도를 높여 나가는 것이 게임이다. 그러기 때문에 다른 문화 장르들에 반해 상대적으로 이런 저런 문제점을 드러내곤 하지만, 공급자(개발사)와 수요자(유저)는 또 그렇게 성장해 나가는 것이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그저 그런 게임정책이라고 하는 이유도 총론은 보지 못한 채 각론만을 가지고 정책이라며 꺼내 든 대선주자들의 허접한 선거 공약 때문이다. 솔직히 지금 심정으론 이 재명이든, 윤 석열이든, 아니면 안 철수이든, 아님 심 상정이든, 그들이 지금 보여주고 있는 게임산업 정책으론 절대로 미래시장을 개척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겨우 그들이 내놓은 대선 공약이란 것을 보면 확률형 아이템 정보공개 및 P2E 게임에 대한 규제완화 그리고 메타버스의 미래 청사진 제시 뿐이다. 이를 미뤄보면 한마디로 2030 표심을 잡고자 하는 정책 공약 치곤 아주 빈곤한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같은 허접한 그림이 그려졌을까. 자세히 들여다 보니 대선 주자 주변의 참모들 가운데 문화와 산업을 함께 아우르는 변변한 측근들이 없다는데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겠다. 이 재명 후보의 경우 게임 특보단과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지만, 그들의 면면을 보면 한쪽만 내다 보는 이들이 적지 않고, 과거형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수두룩하다. 윤 석열 후보 역시 최근 게임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하 태경 의원을 위원장에 임명했으나, 위원회 성격조차 헷갈릴 정도로 모든 걸 그 곳에 쓸어 담아 놓고 있다.

대선을 치르면서 게임산업이 이만큼 뜨거운 정책 의제로 다뤄진 것은 이번 20대 대선이 처음이다. 더욱이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새롭게 떠오른 언택트(비대면)시대를 맞아 게임은 미래 산업이자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수종(樹種) 아이템임을 다시한번 입증해 보였다.

언필칭, 게임시장은 문화 장르의 최고봉에 오름은 물론, 문화의 주류로 부상할 게 분명하다 하겠다. 게임은 원 소스 멀티유즈화 및 지식산업의 보고로서 손색이 없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 오로지 표심만 노리고 날림공사로 일관한다면 게임산업의 미래는 한마디로 암담하다고 밖에 할 수 없다.

정말, 정책다운 정책, 공약 다운 공약을 만들어 표심을 얻을 수는 없을까. 2030세대를 만만히 봤다간 큰 코 다친다.

[본지 발행인 겸 뉴스 1 에디터 inmo@tgdaily.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