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물관리위원회가 최근 사행성을 이유로 나트리스에서 서비스하는 모바일 게임 ‘무한돌파 삼국지 리버스’에 대해 자율등급 분류를 취소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위의 이같은 방침은 게임 내 재화인 '무돌코인'을 가지고 암호화폐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게임에 대한 자율등급이 취소되면 더 이상 서비스를 할 수 없게 된다. 

이 게임은 이른바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 P2E)’ 게임으로 삼국지를 소재로 한 캐주얼 RPG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여러 무장들을 육성하고 전략적인 전투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게임을 플레이하며 얻는 '무돌코인'은 카카오의 계열사인 그라운드X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에서 발행하는 암호화폐 ‘클레이(KLAY)’로 교환 가능하다. 

이에대해 게임업계에선 '게임위가 너무 시대에 동떨어진 인식을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P2E 게임의 경우 외국에선 이미 합법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유독  국내에서만 이를  막고 있다.

최근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는 고유한 디지털 자산에 대해 유저들의 소유권을 광범위하게 인정해 주는 방향으로 제도 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선 여전히 아날로그식 사고방식에 함몰돼 시장환경을 반영치 못하고 있다. 

게임위란 기관 성격상,  시장선도 기능과 그 역할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처사는 옳지 못하다는 생각이다.  적어도 시대의 정신과  흐름은 읽고 따라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치열한 글로벌시장에서 살아 남을 수 있고, 한국 게임업체들이  그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다. 

산업적인 측면보다 문화, 사회적 관점에서 콘텐츠를 바라봐야 하는, 게임위 본연의 기능을 백번 천번 감안한다 하더라도,  일련의 게임위의 심의 잣대는 아주 편향적이며 매우 우측으로 쏠려있다고 밖에 할 수 없다.

게임위의 심의 잣대에 대해 흔히들 고무줄 잣대라고 힐난한다. 하지만 그 고무줄 잣대라는 것이 정확한 용도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역설적으로 그 효용가치를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너무 쏠리면 잡아 당겨 중심을 잡아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그 고무줄 잣대마저 사라지고, 오로지  아주 경직된 심의 잣대만 남아 있는 것이다.

게임위가 여론의 문을 더 활짝 열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처럼 했다가는 게임 시장이 그대로 주저 앉거나 제자리를 맴돌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임시장은 지금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는 점에서 더 그렇다.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