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활성화 위한 대안으로 급부상…'분석 전문가' 양성이 건전환경 조성에 일조

금융을 중심으로 블록체인의 실제 적용 사례들이 잇따르면서 산업 규모 역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를 분리하겠다는 정부 정책 탓에 얼어붙은 투자시장은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기술 진보를 위해 활발한 투자가 뒤따라야 할 시점이지만, 제도권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블록체인에 대해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보니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도입 시기의 혼란스러움을 생각하면 정부 탓, 사회분위기 탓만 할 수도 없는 노릇이긴 하다. 업계 스스로도 건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자정 노력이 동반돼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참여와 보상'이 기본 철학인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의 분리 규제 방침은  균형 감각을 상실한 행정 편의적 발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밖에 이해할 수 없다. 현실적으로 블록체인 기업이 이를 피해 나가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블록체인 투자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같은 투자 냉각기에서 최근 STO(Security Token Offering) 형태의 블록체인 투자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초기 투자 형태인 ICO(Initial Coin Offering)가 '묻지마' 투자와 스캠이 난무한 투자방식으로, IEO(Initial Exchange Offering)로 진화했지만, 이 또한 프로젝트 주체와 거래소에서 얼마든지 결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신뢰를 얻지 못했다.

STO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또는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을 토큰 형태로 발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특히 지분 참여 방식으로 돼 있어 경영 참여도 가능하다. 기업활동에 따른 수익 배분을 받거나 특정 권한이나 권리에 대해서도 거래가 가능하다는 잇점도 있다. 즉 투자자들의 권한 및 권리 행사가 한층 더 강화된 합리적인 투자 방식이라는 것이다. 엄격한 심사를 통해 허황된 계획만 앞세운 프로젝트를 최대한 걸러낼 수 있어 스캠 방지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에서는 STO가 이미 합법화 돼 있으며, 이를 통한 투자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나라다. 검증과정 자체가 미국증권거래소 상장 심사에 버금갈 정도라서 심사 통과 역시 쉽지 않다. 그러나 일단 심사를 통과한 프로젝트는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훨씬 더 좋은 조건으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 따라서 STO를 국내 환경에 맞게 도입한다면 지금까지 겪었던 혼란을 상당 부분 잠재우면서 건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란 점이다.

STO와 함께 새롭게 눈길을 끄는 대목은 블록체인 분석전문가다. 

블록체인 분석전문가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및 기업에 대한 데이터 분석, 생태계 구조 적합성 여부, 경제적 타당성 검토 등을 일괄적으로 살펴보고 수행하는 블록체인 분야의 새로운 직업군이다. 일반 투자자들이 알 수 없는 부분까지 다각적인 검증을 거쳐 투자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는 등 투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며, 컨설팅 업무까지 담당하기도 한다. 

블록체인 분석전문가의 가장 이상적인 역할은 금융, 에너지, 환경 등 산업 전 분야의 전문가들이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결합했을 경우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이같은 분석전문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꽤 좋은 대우를 받고 있다. 투자자와 연결해주는 생태계도 갖추고 있어 블록체인 투자활성화를 위한 분위기 조성에도 한 몫을 하고 있다. 블록체인 선도 국가다운 모습이다. 

미국 시장에서 검증된 시스템이라면 우리도 충분히 도입여부를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선도적인 역할의 기회를 놓쳤다면, 차선이지만 패스트 팔로우라도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이같은 블록체인 분석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이 국내 처음으로 개설된다는 소식이다. 한국블록체인연구교육원과 미래직업연구소 루텐이 손을 잡고 교육과 시험을 통해 민간자격증을 발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블록체인 전문가 그룹과 관련 교수들이 힘을 모아 컬리큘럼을 만들고, 조만간 첫 교육생을 모집해 강의를 시작한다는 것이다. 

블록체인 분석전문가 배출의 배경은 두 말 할 것 없이 투명하고 안정적인 블록체인 투자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모아져 블록체인과 코인에 대한 사회 전반의 불신을 걷어낸다면 투자 활성화는 물론,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글로벌 리더로서의 위치 확보에도 적지 않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블록체인 분석전문가의 역할과 접목된 한국형 STO 모델을 구축한다면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블록체인 업계도 숨통을 트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건전한 투자환경 조성에도 일조할 것이라고 자신한다. 규제의 최소화는 기본이다.

기업에게 충분한 자금은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 주는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스타트업이라면 더욱 그렇다. 없는 기회도 만들어주는 신통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분석전문가 역할과 접목된 STO의 적극적인 도입으로 블록체인 기업들이 제도권 내에서 원활히 자금을 조달하고, 제 몫을 다하는 환경이 하루 빨리 조성되기를 바란다. 

[더게임스데일리 고상태 미디어신산업부 국장 qkek619@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