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게임은 당초부터 구글 플레이 30% 수수료 및 인앱결제 대상이었다. 수수료가 낮아지면 좋은 일이지만 그렇지 않다고 해도 지금과 바뀌는 건 없다.”

최근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구글 앱 30% 수수료 적용범위 확대 및 인앱결제 이슈와 관련해 이 같은 말을 했다. 해당 이슈는 구글의 갑질로 거론되며 국정감사 등에서도 지적되는 문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미 해당 조치를 받고 있는 모바일 게임이 자주 거론되는 상황이다.

구글의 수수료 적용범위 확대가 발표되자 급작스럽게 게임업계가 당하는 갑질 피해를 듣겠다는 의견이 나오는 것. 또 게임을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들이 연합해 구글에 맞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게임업계의 목소리를 경청한다고 해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치 급한 일이 터지자 게임을 총알받이로 내세우는 것 같아 다소 불만이라는 의견도 토로했다.

실제 모바일 게임은 이미 수년 전부터 30% 수수료, 인앱결제 대상이었다. 이에 대해 그간 일부 중소업체 및 스타트업 등이 어려움을 토로해왔으나 제도권은 신경 쓰지 않았다. 그러다 다른 디지털 콘텐츠로도 적용된다고 하자 그제서야 부랴부랴 게임을 살피는 척 한다는 것이다.

물론 현재 마켓 수수료가 높은 편이라는 것에는 충분히 공감한다. 수수료가 낮아져 게임업체가 보다 많은 수익을 얻고 양질의 환경에서 개발을 하기를 기대한다. 이와 함께 유저들 역시 낮아진 수수료 혜택을 보길 희망한다. 또한 구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 수익을 내는 업체라면 어떤 곳이든 매출에 상응하는 세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다른 디지털 콘텐츠가 피해를 입을 것 같자 게임을 총알받이로 내세우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이는 게임업계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것이 아닌 또 다른 종류의 하대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게임을 백안시 하다가 갑작스럽게 부각시키며 띄우는 행보는 자주 있던 사례다.

제도권에서 게임을 중독물질로 언급하거나 강력사건의 원인으로 몰아붙이다 연말 콘텐츠 산업 수출효자로 언급하는 것, 세계적으로 크게 흥행한 외산 게임이 등장하면 왜 우리는 이런 게임을 못 만드냐며 갑작스럽게 소란을 떠는 것도 같은 모습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사례가 지속된다면 향후 게임업계가 진정으로 호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향후에는 업계 일부에서 이런 목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급할 때만이 아닌 평소에도 게임업계의 의견을 경청해 줬으면 바래본다.

[더게임스데일리 강인석 기자 kang12@tgdaily.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